원리는 간단합니다.
즉 특수하게 만든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각막의 형태를 변화시켜(각막을 molding을 시킨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근시와 난시의 진행을 조정 또는 교정하는 시술법이죠. 원하는 도수만큼 각막중심부를 눌러줌으로써 근시 및 난시가 교정되며 시술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레이저를 이용한 각막굴절수술과 같은 효과가 나타납니다. 밤에 잘 때 렌즈를 끼게 되면 눈꺼풀의 힘과 중력에 의해서 렌즈가 각막을 변형시키게 됩니다.
1세대 렌즈는 여러 가지 종류의 렌즈를 순차적으로 끼어서 각막을 변형시키게 되고 현재 2세대 렌즈는 한가지 렌즈로 각막을 변형시키게 됩니다. 렌즈를 밤에 끼게 되면 각막이 변형이 되고 어느 정도 시간까지는 유지가 되다가 그 시간이 지나면 다시 원래 상태로 돌아 옵니다.
따라서 매일 밤 렌즈를 끼고 안자면 다음날은 효과가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이 렌즈의 광고를 보면 근시의 진행을 억제한다고 하는데 근시의 병태생리를 보면 각막의 변화로 근시가 생기는 것보다는 안축장이 길어져서 근시가 진행되는 것이므로 각막의 변화를 억제한다고 근시가 진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은 어패가 있는 말 같습니다.
따라서 이 렌즈는 무조건 좋은 렌즈라고 생각하시고 착용을 하시면 안되고 적응증을 생각해보면 라식 수술이나 라섹 수술, 엑시머 레이저 수술은 적어도 만 18세는 되어야 할 수 있으며 콘택트렌즈 이식술이나 투명수정체 치환술은 만 20세가 되어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나이가 되지 않는 초·중·고 학생들은 어떤 수술도 할 수가 없습니다. 이런 경우에 드림렌즈는 아주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가격이 비싼 것이 흠이기는 합니다 .
적응증을 생각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중등도 이하의 근시, 난시의 사람에게 효과가 좋다고 합니다.
기존의 콘택트렌즈로 인한 합병증이나 이전에 방사상 각막절개술이나 레이저 수술을 받은 사람으로 시력이 불완전한 경우에도 좋다고 합니다.
안경을 착용할 수 없는 특수직업(연예인, 운동선수, 조종사, 소방관, 비행승무원, 예술인 등)을 가진 사람이나 먼지가 많거나 바람이 많은 환경에서 일하시는 분에게 괜찮겠죠?
시력교정수술을 받을 연령(만 18세) 이하의 청소년으로서 안경을 벗고자 하는 아이들은 렌즈의 수명이 2년 정도로 오래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성장이 끝난 어른으로 안경이나 렌즈를 벗고자 하나 수술에 대한 두려움과 비용 때문에 망설이는 분
중요한 것은 이런 렌즈가 좋은 점도 있지만 항상 부작용과 합병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아시고 또한 필요성에 의해서 렌즈를 착용하여야 한다는 것이고 반드시 안과의사의 처방을 받아서 렌즈를 주문을 해야 제대로 맞는 렌즈가 되고 혹시 렌즈가 안 맞게 제작이 되었더라도 반품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