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가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일 경우 안과에서 시력검사를 해야 합니다.
- 사물을 볼 때 눈을 가늘게 뜬다.
- 책을 볼 때 매우 가깝게 놓고 본다.
- 집중력이 떨어지고 자주 멍한 표정을 짓는다.
- 학업 성적이나 운동 능력이 자주 떨어진다.
- 눈을 자주 비비거나 깜박거린다.
- 두통,복시,흐릿한 시야 등을 호소
- 한쪽 눈을 가린다.
- 책을 읽을 때, 눈을 움직이는 대신에 고개를 기울이거나 머리를 옆으로 돌려서 본다.
- 소리 내어 책을 읽을 때, 단어를 빠뜨리거나 잘못 읽거나 반복한다.
처음 시력검사를 하는 아동은 가성근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조절마비제 안약을 점안하고 검사하기도 합니다. 이경우 시간이 1시간 정도 걸리고 검사한 당일은 가까운 것이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처음 안과검사를 하는 아이들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정밀검사를 하는 것이 좋고 정밀검사 후 3일 뒤에 재검사를 해서 안경착용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근시 진행을 멈추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경 쓴 아이들이 갈수록 늘어나고 이미 초등학교 고학년 중에는 반 이상이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교실이 많고 중학교, 고등학교로 진학할수록 안경을 쓴 아이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성장기 청소년들의 근시는 지속적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시력도 계속 감소하는데, ‘자라나는 아이에게 라식 수술을 시켜줄 수도 없는데 어떻게 하나’하고 고민하시는 부모님도 많습니다.
- 과도한 조절을 유발시키는 근거리 작업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독서나 PC작업은 한 시간마다 휴식을 취하도록 합니다. 가성근시가 생길 수 있습니다.
- 바른자세와 조명은 시력보호에 필수적입니다.
- 어두운 조명은 과도한 조절을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 눕거나 엎드려서 책을 보지 않도록 합니다.
- RGP렌즈 사용은 소프트 렌즈 사용에 비하여 근시 진행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경도 근시의 경우에 드림렌즈를 이용하여 각막의 형태를 변화시켜 근시와 난시의 진행을 조정 또는 교정하는 시술법이 개발되어 수술을 하지 않고도 시력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